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정보/공무원 봉급표,수당

2026년 공무원 봉급표 │ 2026년 교사 호봉표 │ 2026년 군인 월급

by st공간 2025. 11. 12.

2026년 공무원 봉급표 │ 2026년 교사 호봉표 │ 2026년 군인 월급

다음은 2026년을 대비해 발빠르게 정리한 공무원, 교사, 군인 보수 기준의 개요입니다. 인상률과 각 직군별 봉급·호봉표를 제시하면서 의미와 유의점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2026년을 앞두고 정부는 공무원 보수를 전반적으로 조정하기로 했습니다. 보수 인상률은 3.5%로 발표되었으며, 이는 지난 2017년 이후 약 9년 만에 가장 높은 폭이라는 설명이 뒤따랐습니다. 이번 인상은 민간 임금 대비 공무원 보수 격차가 점차 확대된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공무원 보수 수준이 2020년 민간 대비 약 90%였던 것이 최근엔 83.9%까지 떨어졌다는 정부 자료가 있습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인상률이 과장되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으며, 공식 인상률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는 보도도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내용을 정리하겠습니다.

  • 2026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
  • 2026년 일반직렬 공무원 봉급표
  • 2026년 군인 월급
  • 2026년 교사 호봉표
  • 2026년 경찰·소방 공무원 봉급표
  • 결론 및 유의사항

2026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

정부 발표에 따르면 2026년 공무원 보수 인상률은 3.5%로 제시되었습니다.

이 인상률은 최저임금 인상률(2.9%)과 내년 물가상승률(2.0%)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공직사회의 보수 정상화 필요성이 고려된 조치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보도자료에서는 인상률이 2.7~2.9% 범위라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실제 확정 인상률이 발표되기 이전에는 다소 유동성이 존재하며, 직급·호봉·수당 등에 따라 체감 인상 폭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주요 특징

  • 모든 직급과 호봉에 대해 일괄 적용되는 인상률이 제시됨.
  • 특히 저연차(예컨대 5년 이하) 공무원에 대한 처우 개선이 별도로 언급됨.
  • 수당·정액급식비·초과근무수당 등에 대한 조정 가능성이 포함됨.

유의할 점

  • 인상률이 ‘기본급’ 기준인 경우가 많으며, 실수령액엔 수당 등이 포함되지 않음.
  • 지역·근무조건·직무가산금 등에 따라 실제 수령액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 인상률 발표와 별표(봉급표) 고시는 시차가 존재하고, 국회 심의 등을 거쳐 변경될 수 있음.

위 인상률은 전체 흐름을 이해하는 출발점으로 활용하되, 실제 수령액 산정 시에는 별표 고시 및 수당 규정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2026년 공무원 봉급표 (2026 일반직렬 공무원 호봉표)

여기에서는 일반직 공무원(1급 ~ 9급) 및 일반직에 준하는 직군의 봉급표 월지급액 일부를 제시합니다. (단위: 원)

공무원 봉급표 2026

2026 공무원 봉급표 일부

계급·직무등급 호봉 월지급액
1급 1호봉 4,656,100
2급 1호봉 4,191,600
3급 1호봉 3,781,700
4급·6등급 1호봉 3,241,200
5급·5등급 1호봉 2,896,400
6급·4등급 1호봉 2,389,500
7급·3등급 1호봉 2,249,700
8급·2등급 1호봉 2,099,200
9급·1등급 1호봉 2,070,900

표에 나타난 수치는 ‘기본급’ 월지급액으로, 다양한 수당이 반영된 실수령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분석

상위계급일수록 기본급이 월 수백만 원대이며, 하위계급(9급)에서도 월 기본급이 약 200만원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호봉이 증가하면 더 높은 봉급이 적용되므로 경력에 따라 월급 격차가 커질 수 있습니다. 본 봉급표는 이미 발표된 자료이며 2026년 인상폭 적용 전 표로 볼 수 있지만, 2026년 인상률이 반영되면 이 기본급이 약 3.5% 수준으로 상향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유의사항

  • 위 표는 일부 호봉 및 계급만 나열한 것이며, 실제 모든 호봉의 금액이 포함된 것은 아닙니다.
  • 각 계급 내 호봉마다 월지급액이 다르며, 위는 1호봉 기준임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수당(가족수당·근무지가산·시간외근무수당 등)은 별도로 산정되어 실수령 월액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 2026년 인상률이 확정되면 위 금액에 인상률이 적용되므로, 실제 표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2026년 군인 월급

군인보수도 공무원과 마찬가지로 기본급 및 호봉체계가 존재하며, 계급별·호봉별 월지급액이 별도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일부 계급 및 호봉에 대한 예시입니다.

2026년 군인 봉급표 일부 (계급·호봉별 월지급액)

군인 월급 2026

계급 호봉 월지급액
소장 월급 1호봉 6,099,000 원
준장 월급 1호봉 5,753,700 원
대령 월급 1호봉 4,671,200 원
중령 월급 1호봉 4,105,800 원
소령 월급 1호봉 3,382,700 원
대위 월급 1호봉 2,805,000 원
중위 월급 1호봉 2,239,600 원
소위 월급 1호봉 2,087,900 원
원사 월급 1호봉 2,544,300 원
상사 월급 1호봉 3,568,100 원
중사 월급 1호봉 2,468,000 원
하사 월급 1호봉 2,118,000 원

위 자료는 별표에 제시된 금액으로, 2026년 인상률이 반영되면 이 월지급액 역시 다소 증가할 수 있습니다.

분석 및 특이사항

군인 계급체계는 일반직 공무원과는 계급명 및 직무 특성이 다르며, 상대적으로 상위계급에서는 월급이 훨씬 높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예컨대 소장 1호봉 월급이 약 600만원대로 나타난 것은 높아 보이며, 이는 군에서 최고위직 계급이면서 경력이 많은 인원을 가정한 값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 현역 하사·중사 이하 병급·부사관 등은 위 표보다 훨씬 낮은 금액일 수 있으므로 일반 현역 병사 월급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유의사항

  • 군인 봉급표는 계급·호봉 외에 특수근무수당·격오지수당·위험근무수당 등이 별도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 병사 계급(이등병·일등병·상등병·병장)의 봉급은 별도 규정되어 있으며 일반 봉급표와는 구조가 다릅니다.
  • 인상률 적용 여부 및 시점에 따라 실제 월수령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6년 교사 호봉표

2026 교원(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의 봉급도 호봉제로 운영됩니다. 아래는 호봉별 월봉급액 일부를 정리한 것입니다.

2026년 교사 호봉표 (월지급액)

2026년 교사 호봉표

호봉 봉급
1호봉 1,982,100 원
2호봉 2,042,200 원
3호봉 2,103,000 원
4호봉 2,163,700 원
5호봉 2,224,800 원
21호봉 3,600,700 원
22호봉 3,733,600 원
23호봉 3,865,300 원
24호봉 3,997,500 원
25호봉 4,129,400 원
26호봉 4,261,900 원
27호봉 4,400,100 원
28호봉 4,538,000 원
29호봉 4,682,100 원
30호봉 4,826,800 원
31호봉 4,971,100 원
32호봉 5,115,200 원
33호봉 5,261,600 원
34호봉 5,407,500 원
35호봉 5,553,600 원
36호봉 5,699,100 원
37호봉 5,825,700 원
38호봉 5,952,500 원
39호봉 6,079,500 원
40호봉 6,205,700 원

분석

교사 봉급표는 직급이 아닌 ‘호봉’으로 동일 직급 내 경력에 따라 월급이 상승하는 구조입니다. 초임(1호봉) 월봉급이 약 198만원 수준이며, 경력 30년대(30호봉 이상)에서는 월봉급이 400만원대에서 600만원 이상까지 올라갑니다.
이처럼 호봉 상승이 교사의 보수 증가에 주요 요인이므로, 연차와 경력 누적이 상당한 의미를 갖습니다.

유의사항

  • 위 금액은 기본봉급만을 나타낸 것이며, 수당이 포함된 실수령액이 아닙니다.
  • 기간제교원이나 시간제 교원 등의 경우 정상근무 시 받을 봉급액을 기준으로 근무시간 비례 지급됨을 유의해야 합니다.
  • 인상률이 적용될 경우 위 봉급액에 일정 비율의 인상이 반영될 수 있습니다.

2026년 경찰·소방 공무원 봉급표

경찰공무원 및 소방공무원의 봉급체계도 별도로 규정되어 있으며, 계급·호봉별 월지급액이 아래와 같이 제시됩니다.

2026 소방 경찰 공무원 봉급표 일부 (월지급액, 단위 : 원)

소방 경찰 공무원 봉급표 2026

계급 호봉 월지급액
치안정감 / 소방정감 1호봉 4,905,100
치안감 / 소방감 1호봉 4,563,500
경무관 / 소방준감 1호봉 4,167,700
총경 / 소방정 1호봉 3,619,000
경정 / 소방령 1호봉 3,126,100
경감 / 소방경 1호봉 2,698,600
경위 / 소방위 1호봉 2,434,700
경사 / 소방장 1호봉 2,400,200
경장 / 소방교 1호봉 2,150,800
순경 / 소방사 1호봉 2,070,900

분석

경찰·소방 계급의 월봉급액이 일반직 공무원보다 다소 높은 수준부터 시작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치안정감·소방정감 계급은 월500만원 가까이 되는 봉급이 제시되어 있어 책임과 직무의 무게가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호봉이 올라감에 따라 월지급액이 상당히 증가하며, 위험근무수당·격무수당 등이 추가될 경우 실질 보수는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 위험근무·격오지근무 등 특수근무 조건이 있을 경우 추가 수당이 적용되며, 위 기본봉급만으로 실수령액을 가늠해서는 안 됩니다.
  • 계급 및 호봉이 올라갈수록 봉급 상승폭이 크므로 경력 누적이 중요합니다.
  • 인상률이 적용될 경우 이 봉급표 역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결론

2026년 보수 개편은 공무원·교사·군인·경찰·소방 등 공직사회 전반에 걸친 의의 있는 변화로 평가됩니다. 인상률로 보면 약 3.5%가 언급되었으며 이는 최근 몇 년간의 흐름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낮은 연차에 대한 추가 인상이 별도로 언급된 것도 긍정적입니다. 그러나 실제 적용 시에는 기본급 외의 수당, 계급과 호봉의 차이, 특수근무 조건 등이 실수령액에 커다란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봉급표에 제시된 금액은 기본급 기준이며 수당을 포함하지 않은 점을 반드시 인지해야 합니다.

교사·군인·경찰·소방 등 직군별로는 호봉 또는 계급 체계가 다르고 수당 적용 기준도 서로 다르며, 따라서 동일한 ‘인상률 3.5%’가 모든 국민에게 동일하게 체감된다고 보기에는 제한적입니다. 향후 봉급표 확정 이후에는 본인이 속한 직급·호봉·근무지 조건 등을 고려해 자신이 실제로 수령하게 될 금액을 산정해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향후 물가·민간임금 상승 폭과의 비교, 공직 보수 정상화 여부에 대한 논의도 계속될 전망입니다.

이번 보수 인상이 공직사회의 사기 진작과 장기적인 직무 안정성 확보로 이어질 수 있을지, 또 민간과의 보수 격차 해소에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을지는 지켜볼 부분입니다.

마지막으로 본 글에서 제시한 숫자는 ‘기본급 월지급액’ 기준이며, 향후 고시된 공식 자료와 수당 적용 여부에 따라 실제와 다를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