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야 및 휴일 시간외 근무수당 계산 방법
시간외 수당 계산 방법 기본 원칙
대한민국의 근로기준법은 근로자가 하루 8시간 또는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는 경우 시간외 근무수당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근로기준법 제56조). 이러한 시간외 근무수당은 근로자의 통상임금의 50%를 추가하여 지급합니다(근로기준법 제57조). 또한, 5인 이상의 사업장에서는 산업별 최저임금의 150%를 초과하는 임금에 대해서는 추가 수당 계산이 제외됩니다(고용노동부 고시 제2024-10호).
통상임금 계산 방법
통상임금은 근로자의 총 월급여에서 비과세 금액을 제외한 후, 209시간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월급이 3,000,000원이고 비과세 금액이 500,000원인 경우, 통상임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통상임금 = (3,000,000원 - 500,000원) / 209시간 = 11,913원
연장근무 시간 계산 방법
연장근무 시간은 법정 근무시간(1일 8시간, 주 40시간)을 초과한 실제 근무 시간으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주중 근무 시간이 다음과 같은 경우,
- 월요일: 9시간
- 화요일: 8시간
- 수요일: 10시간
- 목요일: 8시간
- 금요일: 7시간
연장근무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연장근무 시간 = (9 + 10 + 7) - (8 * 4) = 8시간
시간외 근무수당 계산
5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연장근무 수당을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 시간외 근무수당 = 통상임금 x 1.5 x 연장근무 시간
- 예시: 통상임금 11,913원, 연장근무 시간 8시간의 경우 = 11,913원 x 1.5 x 8시간 = 142,872원
5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 시간외 근무수당 = 통상임금 x 연장근무 시간
- 예시: 통상임금 11,913원, 연장근무 시간 8시간의 경우 = 11,913원 x 8시간 = 95,296원
추가 고려사항: 야간 및 휴일 근무수당
야간근무수당과 휴일근무수당 역시 근로자의 수당에 추가될 수 있습니다.
- 야간근무수당: 밤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 근무한 시간에 대해 통상임금의 50% 추가 지급
- 휴일근무수당: 휴일에 근무한 시간에 대해 통상임금의 100% 추가 지급
근로 조건, 고용 형태 및 산업별 최저임금에 따라 지급되는 시간외 근무수당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계산을 위해 전문가나 관련 기관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용한 링크
키워드: 시간외 근무수당, 근로기준법, 통상임금, 연장근무, 야간수당, 휴일근무수당, 근로복지, 최저임금, 고용노동부, 근로조건
반응형
'직장 > 근로기준법,노동관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체휴가 보상휴가제도의 보상과 계산방법 근로기준법 57조 (0) | 2024.04.15 |
---|---|
근로기준법 법정 근로시간 휴게시간 무급, 유급 휴일 근무시간 (0) | 2024.03.02 |
근로기준법 56조 연장근로(연장ㆍ야간 및 휴일 근로) 야간근로수당 및 휴일근무수당 계산방법 (0) | 2024.02.21 |
6개월 탄력근로제 문제점 건강 해법 근로일 11시간 연속 휴식 탄력적 근로시간제 반대이유 (0) | 2020.09.14 |
10월 3일 개천절 대체공휴일, 추석 대체휴일 9일 한글날 공휴일 10월 임시공휴일? (0) | 2020.09.08 |
근로기준법57조(보상휴가제,대체휴가) - 보상휴가제의 보상과 계산방법 (0) | 2016.04.29 |
실업급여신청방법,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기간과 실업급여모의계산 (고용보험 가입기간과 연령, 실업수당 지급 금액) (0) | 2016.04.19 |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 1장 총칙. 퇴직금은 근로기준법이 아닌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서!! - 퇴직금 받는법 (0) | 2016.04.18 |